본문 바로가기
유용한정보

2025년 실업크레딧 신청방법- 정부가 75%를 대신내준다고?실업급여 수급중이라면 강추! 국민연금 보험료를 지원받는 방법!

by 꿀 정보 꿀팁 공유 2025. 4. 11.
반응형

실업크레딧 신청방법

📌 목차

✅ 실업크레딧이란?

실업크레딧은 실직으로 구직급여를 수급하는 동안 국민연금 보험료의 75%를 국가가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. 이 제도를 활용하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단절되지 않고, 노후 연금 수령액도 줄지 않아 안정적인 미래 준비가 가능합니다.

✅ 신청 자격 조건

  • 만 18세 이상 ~ 60세 미만
  • 국민연금 1개월 이상 납부 이력 보유
  • 고용보험 구직급여 수급 중인 자
  • 재산세 과세표준 6억 원 이상 또는 금융·연금소득 연 1,680만 원 초과자는 제외

※ 실업급여 수급 중에만 신청할 수 있으며, 종료 후에도 해당 월의 다음 달 15일까지 신청 가능

✅ 지원 내용 및 금액

  • 실직 전 평균소득의 50%(최대 70만원)를 인정소득으로 간주
  • 인정소득의 9%를 연금보험료로 산정
  • 그 중 75%는 국가가, 25%는 본인이 부담

※ 생애 최대 지원기간은 총 12개월이며, 나눠서도 신청 가능

인정소득 연금보험료(월) 본인 부담(25%) 연간 국가 지원(75%)
50만 원 45,000원 11,250원 405,000원
60만 원 54,000원 13,500원 486,000원
70만 원 63,000원 15,750원 567,000원

✅ 신청 방법 

  • 실업크레딧 신청은 구직급여 신청 시 또는 이미 실업급여 수급 중인 경우에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구직급여 신청 시: 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 시, 구직급여와 함께 실업크레딧을 한 번에 신청합니다.(방문)
    • 실업급여 수급 중인 경우: 국민연금공단 관할 지사 방문 또는 고용보험/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(방문/온라인)
    • "내곁에 국민연금"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가능
    ※ 신청 기한은 구직급여 종료일이 속한 달의 다음 달 15일까지입니다.

✅ 납부 방법 

국민연금 보험료 중 정부가 **75%**를 지원해 주며,
남은 25%의 본인 부담분에 대해서는 고지서를 발송합니다.

온라인 납부 방법:

  •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후 전자민원 메뉴에서 ‘인터넷 납부’를 선택
  •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 또는 카카오페이 인증으로 로그인
  • 고지 내역에서 본인 부담 금액(25%)을 확인한 후, 가상계좌 발급 및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로 납부

모바일 납부 방법:

  • 국민연금공단에서 발송된 모바일 전자고지서의 ‘납부 바로가기’ 링크를 활용하여 간편 납부 (가장편리합니다)
  • 국민연금 인터넷 납부서비스
  • 고지서의 가상계좌

✅ 주의사항 및 지원 기간

  • 실업급여 수급 기간 내에만 지원 가능
  • 생애 최대 12개월 한도
  • 매달 30일 이상 실업급여 지급 시 1개월 크레딧 산정
  •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는 별도로 전환해야 함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• Q. 실업크레딧을 신청하면 국민연금도 자동 가입되나요?
    A. 아니요. 별도로 국민연금 지역가입 전환이 필요합니다.
  • Q. 취업 후에도 과거 실업기간에 대해 신청 가능할까요?
    A. 구직급여 종료 다음 달 15일까지 가능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Q. 이번에 3개월만 지원받았는데, 나중에 또 신청할 수 있나요?
    A. 생애 총 12개월 한도 내에서 추가 신청이 가능합니다.
  • Q. 실업크레딧은 실업급여를 받아야 신청할 수 있나요?
    A. 네. 실업급여 수급 중이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실직은 잠시지만, 노후는 길게 준비해야 합니다.
실업크레딧,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.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

 

반응형